문화콘텐츠2 일기 자료는 조선 시대 사람들의 일상적 삶과 생각들을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일기 자료는 조선 시대 사람들의 일상적 삶과 생각들을 정확하게 복원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일상사와 미시사 연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자료가 바로 일기류 기록자료인 이유이다. 특히 일기류 자료는 그날의 기록을 바로 담기 때문에 정보 자체가 정확하다. 게다가 여기에는 시간 정보와 공간정보가 담겨 있으며, 당시의 기상정보나 특정 사건의 전말 등이 그대로 담겨 있다. 그 시대 생활사의 복원이 가능한 이유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라는 궁금증에 대한 많은 답을 얻을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궁금증에 대한 답을 얻어가는 과정은 단순한 흥미의범주를 넘어 선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특히 근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미시사나 생활사 연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이는 거 대사 중심.. 2020. 8. 29. 기록자료가 가진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가치와 활용 방안 기록자료가 가진 문화콘텐츠 소재로서의 가치와 활용방안 우리는 이른바 ‘문화 콘텐츠(contents)의 시대’를 살고 있다. 문화 가산 업이 되고, 콘텐츠가 생산품이 되어 소비자와 만난다. 문화를 생산하기 위해 자본이 투입되고 그렇게 만들어진 문화상품을 소비하는 시대이다. 부존자원과 기술로 대변되는 전통적인 산업과 전혀 다른 패러다임이 예고되어 있는 것이다. 이제 ‘해리포터’ 관련 단일 상품의 매출이 불과 10년 만에 현대자동차가 창사 이후 지금까지 생산해 온 매출을 넘어섰다는 사실을 단순한 우연으로 보는 시선은 거의 없다. 각 나라마다 문화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려는 시도들이 이루어지는 이유이다. 이러한 시대에 새로운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 바로 각 나라가 가지고 있는 전통문화자산이다. 오랜 역사는 .. 2020. 8.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