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25

실제 메갈로돈 크기를 측정 실제 메갈로돈 크기를 측정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된 논문입니다. 제이슨 스타뎀 주연의 할리우드 영화로 유명한 선사시대 거대 상어 메가로돈의 실제 크기를 측정에 성공하였다고 합니다. 자연과 수학을 결합하여 Swansea와 Bristol 대학의 연구팀이 실측 치를 계산하였습니다. 연구는 수학적인 방법으로 메갈로돈의 친척뻘인 상어들과 자료를 비교하여 약 2300만 년에서 3백만 년 전에 살았던 메갈로돈의 실제 전체 크기를 알아내었습니다. 계산의 결과는 약 16m(52ft)로 대 백상어보더 거의 3배 정도 큰 크기입니다. 머리 사이즈만 약 4.65m(15ft)이고 성인 한 명 크기의 등 지느러미, 3.85m 크기의 꼬리를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 연구 자료는 전체 뼈의 크기가 아닌 .. 2020. 9. 7.
창작 소재로 활용 가능한 이야기의 전말을 전달해주는것이다. 이와 같은 가공에 있어서도 원문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한다는 원칙을 고수한다. 창작과 제2차 가공은 창작자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번역문에 대한 최소한의 가공만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나 그것이 가진 의미 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다. 또한 그 당시 사용되던 용어나 인물정보가 정확치 않을 경우 그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그 이야기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그 내용이 왜 그렇게 전개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가진 시대적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전문가들이 기술해주는 것이다. 예컨대 앞에서 본 말도둑 사건과 같은 경우는 당시 말의 중요성이나 지방에서의 형사사건에 대한 진행, 수령의 권한 등을 자세하게 집필해주어야 그 진행 추이와 의미들.. 2020. 8. 30.
일기류 기록자료 활용 스토리 테마파크 일기류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기록자료의 보존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제한적 수준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기록자료의 활용성을 제고하고 ‘언어적 장벽’을 제거하기 위한 작업이 바로 ‘번역’이다. 하지만 번역이 되었다고 해도 일반적 수준의 창작자나 교육자들이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어려운 문제들이 남아 있는데, 그것이 바로 100여 년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없는 ‘문화적 장벽’이다.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번역을 넘어 이것을 다시 재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같은 2차 가공은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힘으로써 활용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1차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주로 보존성과 제한적인 활용성을 목적으로 한다면, 번역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 2차.. 2020. 8. 30.
일기류 기록자료 데이터베이스 민간 소장 자료를 기탁의 방식으로 보관하는 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은 현재 약 40만 점의 기록자료를 보유하고 있다 이 가운데 일기류 기록자료는 대략 3,000점 정도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파악된 필사본 일기류가 약 1,000종이며, 문집 속에는 대략 2,000종 정도의 일기류가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일기류 기록자료는 왕조실록이나 중앙의 여타 기록자료와 달리 대부분 각 문중이나 집안 단위로 몇 백 년씩 보관해 오다가 민간 소장 자료들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기탁되었다. 이와 같은 일기류 기록자료들은 모두 紙類자료들로, 특히 필사본 일기류는 대부분 그 자체로 단 하나밖에 없는 유일본 자료이다. 이 때문에 이 같은 자료들은 ‘보존성’을 우선할 수밖에 없다. 과학적인 보존처리와 수장고.. 2020.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