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방송 플랫폼의 종류와 특성

by 쥬이대디 2020. 8. 9.
반응형

방송 플랫폼의 종류와 특성

 

1) 트위치TV(Twitch TV)

 

트위치TV는 한국에서 서비스가 제공되기는 하지만 외국에서 탄생한 플랫폼으 로 방송을 진행하는 사람이나 방송을 이용하는 사람이 한국인 보다 외국인이 더 많은 것이 특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위치TV가 한국에서도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플랫폼으로 자리잡은 이유는 철저하게 게임만을 공략한 플랫폼이기 때문 이다. 다른 플랫폼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동영상 콘텐츠들은 방송이 불가하고, 오 로지 게임과 관련된 방송만 송출이 가능하다.

 

2) 다음tv팟

 

MBC ‘마이리틀 텔레비전’과의 결합을 통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다음tv팟은 2006년부터 포털사이트 다음이 서비스하고 있다. 기존의 다음tv팟 프로그램은 인 터넷 개인 방송의 플랫폼이라기보다는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으로서 더 널리 알려 27 져 있었다. 그러나 10여년이 넘게 라이브 방송을 서비스 해왔으며 동영상 재생에 초점을 맞춘 플레이어로 다른 동영상 플랫폼에 비해 우수한 화질(4000Kbps)로 방송을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타의 인터넷 1인 방송 플랫폼보다는 비 교적 조금 더 엄격한 규정을 정해 음란, 폭력, 혐오 등의 분위기를 조장하는 영상 물의 방송을 엄격히 제재하고 있다. BJ(Broadcasting Jockey)에게 아무런 직접적 인 수익 구조가 없다는 면에서 타 플랫폼과의 경쟁에서 차별성이 있다. 그러나 최 근에는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일환으로 현금보상 서비스를 도입하여 시 청자가 BJ에게 직접적으로 후원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3) 유스트림(Ustream)

 

유스트림은 2007년 3월 미국에서 시작된 인터넷 1인 방송 서비스로 2012년 상반기부터 KT와 함께 유스트림 코리아를 설립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 국에서는 사용자가 많지 않으나 미국에서는 동영상 생중계 서비스 플랫폼 중 이 용자 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스트림은 2008년 버락 오바마 대통 력의 선거 유세를 생중계하고, 2009년 취임식 또한 전 세계에 생중계하면서 유명 세를 타고 미국의 대표적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다. 유스트림이 타 플랫폼과 차별화되는 특징은 소셜 스트림(Social Stream)기능이 다. 이용자는 생방송을 보는 동시에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실시 간으로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유스트림의 특징은 기업들이 전용 채널 을 생성하여 캠페인이나 이벤트를 진행하며 기업의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연동하 여 공유를 통해 홍보성과를 높이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출처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김지하 논문 발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