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미디어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과 능동적 수용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의 전통미디어와 그 이론들은 모두 일방향적 커 뮤니케이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인터넷의 등장과 정보통 신 기술의 발전은 미디어의 커뮤니케이션 형식을 변화하게 하였는데, 그 결과로 방송을 송신하는 송신주체와 이용자 간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쌍방향 커뮤니케이 션이 등장하였다. 기존의 인터넷에서의 상호작용에 시간차가 있었다면 인터넷 1 인 방송의 등장은 실시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여, 미디어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란 개별적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두 지점 간 커뮤니케이 션을 말하는 것으로 이원 커뮤니케이션 또는 양방향 무선이라고도 한다. 방송국에 서 방송하는 것을 수신자가 받기만 하는 일방향적인 통신이 아니라 수신자가 영 상과 음성을 발신하는 통신시스템이다.
매스 커뮤니케이션은 원래 공급자로부터 수용자에게 전달되는 일방향 전송으로 서 모델화된 것이다. 그러나 미디어가 점자 다양화되면서 상호작용의 개념이 접목 되기 시작하는데 미디어가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전통 이론들을 살펴보면 쉐논과 위버(Shannon& Weaver)의 탄환이론(Bullet theory), 라자스펠드(Lazarsfeld)의 2단계 흐름 가설(two-step flow hypothesis), 선택적 인지 원칙(principal of selective attention and perception), 그리고 웨슬리와 맥린(Westley and 10 MacLean)의 게이트키퍼와 피드백(Gatekeeper and feedback) 개념들이 등장했 다.
이는 모두 매스미디어를 일방향적 흐름(one-way flow)으로 이해하려는 모델 로 이해된다(Heeter, 1989). 그러나 이용과 충족 접근(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이 등장한 후, 자 극-반응 사슬 접근에서 자극의 영향력에 따라 상대에게 미치는 효과가 상호작용 의 주요한 관심이 되었다.
송민정(2002)은 상호작용(interaction)의 개념은 쌍방향 (two- way) 혹은 다중방향(multi-directional)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요한다고 말 했다. 뉴미디어가 제공하는 쌍방향적 특성을 통해 미디어 이용자는 능동적 수용자 (active participant)로 인식된다. 사람들이 정보를 수용하는 단계에서 벗어나 점 차 정보를 선택하거나 탐색하는 주체로 성장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이용과 충족 이론이 대두되면서 수용자의 능동성과 상호작용이라는 개념이 적극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미디어를 쌍방향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에 단초를 제 공하였다. 쌍방향성이란 인터넷이 등장했던 시대에 인터넷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었다.
캐롤린 린(Carolyn Lin)은 “커뮤니케이션상에서 인터넷의 속성은 사 용자로 하여금 멀티미디어와 그 다양한 형태의 플랫폼을 가진 정보를 자유롭게 사용하고, 분배하고, 교환하고, 수용한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용자 들은 사회적 재현을 경험하고 정보의 실마리를 찾으며 네트워크를 갖춘 환경에서 멀티태스킹을 할 수 있게 된다.”고 인터넷의 특성을 종합하였다(Carolyn Lin, 2009). 이에 여러 학자들이 쌍방향성을 정의했는데 스튜어(Steuer)는 쌍방향성을 “사용자들이 매개된 환경의 형식이나 내용을 실시간으로 수정하는 데 참여하는 정도”라고 설명하였고(Steuer,1992) 블랫버그와 데이튼(Blattberg&Deighton) 는 “거리나 시간에 관계없이 사람들 그리고 조직들이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정도 (Blattberg&Deighton, 1991)”로 쌍방향성을 정의하였다.
한국문학평론가협회에 따르면 쌍방향성이란 디지털 매체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말한다. 디지털 이전의 미 디어는 모두 완결된 형태로 메시지를 전달하여 수신자는 송신자가 주는 정보를 그대로 수용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머무는 반면 네트워크상의 메시지와 정보는 완 료형이 아니라 진행형으로 존재한다고 하였다.
한편 인터넷에서의 쌍방향성은 사 람과 사람 사이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메시지와 커뮤니케이션 매체 간의 상호작 11 용도 포함한다(Liu & Shrum, 2002). 앞선 연구들은 미디어에서의 상호작용성의 유무의 문제라기보다는 상호작용성 이 능동적 참여자에 의해 얼마나 구현되고 뉴미디어가 이를 실현하는 정도의 문 제라는 것에 공통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출처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김지하 논문 발췌
'지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인방송 상호작용성 커뮤니케이션 논문 (0) | 2020.08.07 |
---|---|
인터넷 미디어의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0) | 2020.08.06 |
인터넷 미디어 생태계의 가치사슬 구조 변화 (0) | 2020.08.04 |
인터넷 방송 특성 연구 논문 정리 (0) | 2020.08.03 |
인터넷 1인방송 특성연구 논문 연구 배경 (0) | 2020.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