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1인방송 상호작용성 커뮤니케이션 논문

by 쥬이대디 2020. 8. 7.
반응형

1인방송 상호작용성 커뮤니케이션 논문

 

<표 1>을 보면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대면 커뮤니케이션에서 실현하지 못하는 상호작용성이 높다고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이 매스 커뮤니케이션과 가장 다른 점이 바로 상호작용성인데, 이러한 상호작용성은 미디 어 효과와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의 효과 과정을 다르게 만드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인터넷은 기존 미디어들과 달리 일대다 다대다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모두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표 1>에서 나타낸 인터넷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성은 인간 상호작용이 아닌 기계 상호작용이긴 하나 인터넷 상에서는 기 본적으로 누구든지 커뮤니케이션에 참여하는 것이 가능하고 미디어 이용자와 이 용자 상호간, 또는 미디어 이용자와 미디어 시스템 간의 즉각적이고도 상호작용 적인 피드백 또한 가능하다.

 

앞선 연구들을 살펴보면 기존의 상호작용성에 대한 연구는 라디오와 같은 전통 적인 미디어의 상호작용성이나 인터넷 상에서의 상호작용성을 분리하여 연구하였 다.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기존 커뮤니케이션 이론들의 한계가 드러나면 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모델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능동적 수용자와 생비자 (Prosumer)의 개념이 확장되어 수용자의 역할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 14 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모델로 대표되는 인터넷 방송의 상호작용성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과 방송의 영역에 모두 포함이 되는 인터넷 방송의 상호작용 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아프리카tv 플랫폼 같은 경우 방송을 TV로 시청하고 상호작용적 참여는 인터 넷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넘어서 방송과 인터넷의 융합 환경으로의 변화를 통해 일원적이고 즉각적으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방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방송 패러다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호작용성이다.

 

이러한 새로운 방송패러다임에 대한 상호작용성 연구들 은 방송을 송출하는 지점에서 제공하는 상호작용 기제와 그에 의한 수용자에 초 점을 맞추어, 상호작용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권호천(2009)은 상호작용 기제의 차 이와 기제에 따른 이용자들의 참여정도를 비교한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와 같은 관점을 아프리카tv에 적용하게 되면 아프리카tv 플랫폼의 상호작용성 기제 와 아프리카tv 시청자들의 상호작용정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는 것 역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을 실시간으로 구현한 아프리카tv 플랫폼의 상 호작용성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BJ의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서 성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보고자 한다.

 

아프리카tv 플랫폼에서는 아이 템과 채팅이라는 상호작용 기제를 사용함으로서 다른 인터넷 영상 스트리밍 서비 스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상호작용 기제인 유료아이템과 채팅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출처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론홍보영상학과 김지하 논문 발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