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정보

창작 소재로 활용 가능한 이야기의 전말을 전달해주는것이다.

by 쥬이대디 2020. 8. 30.
반응형

이와 같은 가공에 있어서도 원문의 내용을 그대로 전달한다는 원칙을 고수한다.

 

창작과 제2차 가공은 창작자들의 몫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번역문에 대한 최소한의 가공만 하게 되는데, 이 경우 당시의 시대적 배경이나 그것이 가진 의미 등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없다. 또한 그 당시 사용되던 용어나 인물정보가 정확치 않을 경우 그 전체 내용을 이해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그 이야기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그 내용이 왜 그렇게 전개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가진 시대적 의미는 무엇인지 등을 전문가들이 기술해주는 것이다.

예컨대 앞에서 본 말도둑 사건과 같은 경우는 당시 말의 중요성이나 지방에서의 형사사건에 대한 진행, 수령의 권한 등을 자세하게 집필해주어야 그 진행 추이와 의미들을 이해할 수 있다. 동시에 특정 용어나 인명은 인명을 포함한 웹 용어 사전을 제작하여 함께 제공함으로써, 내용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원문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소재의 출처와 원문 내용을 그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더불어 텍스트로만 제공할 경우 복잡한 내용이지만, 그림 한 장, 3D 한 컷이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도 있다. 예컨대 서원 건축과 관련되어 서원의 건축양식과 높이와 길이 등에 대해 복잡하게 설명하는 것보다는 그림 한 컷을 보여주는 것이 훨씬 이해도가 높다. 또 말 도둑을 잡기 위해 쏜 화살이 어떠한 것인지, 지방 수령이 입고 있는 복식이 어떤지에 대해서도 한 장의 그림으로 보여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각각의 이야기 소재에 적합한 다양한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인물의 관계도, 이동 경로 등도 이러한 이유에서 그래프로 제공한다.

이처럼 하나의 이야기 소재에는 부가정보와 원문 및 원본 이미지, 그리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가 함께 제공되는데, 이것들을 통틀어 ‘하나의 이야기 소재’라고 말한다. 하나의 이야기 소재 속에는 많은 양의 텍스트와 멀티미디어 등이 함께 제공된다. 2011년부터 매년 이러한 이야기 소재 600건씩을 구축하여, 현재 1,800건이 서비스 되고 있으며, 2014년 말 2,400건이 서비스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이야기 소재는 민간의 일상적인 삶을 복원시킬 수 있는 내용들이다. 따라서 전체 이야기 구조의 모티프가 될 수도 있고, 각각의 단위 장면을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자료일 수도 있다. 특히 이러한 정보는 하나하나가 단절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의미 연계관계에 따라 정보를 연결시킴으로써, 필요한 부가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기류 기록자료에 기반한 이야기 소재 은행의 특성을 살려, 동일한 날짜의 조선왕조실록과 연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동일 공간에서의 사건이나 동일 주제 등을 검색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이야기 소재는 ‘테마스토리’와 ‘인물 캐릭터’ 그리고 ‘배경 이야기’라는 창작자들의 요구에 바탕한 네비게이션 구성을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그리고 각 내비게이션의 세부 분류 역시 창작자들이 직관적으로 내용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은 향후 구축되는 정보에 따라 재정의되고 새롭게 분류될 예정이다. 그리고 내비게이션이 의미 없을 정도로 많은 정보를 갖게 되면, 철저한 검색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이렇게 구축된 이야기 소재는 향후 출판이나 다큐멘터리, 드라마, 영화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처럼 구축된 스토리 테마파크는 내용에 있어서 일상을 살았던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드러낸다. 왕조실록이 왕과 중앙의 정치 권력 이야기의 소재로 활용되었던 것에 비해, 스토리 테마파크는 일상적 삶을 사는 평범한 사람들을 주인공으로 삼을 수 있는 소재로서 기능할 것이다. 지금까지 왕조실록이라는 기록자료를 바탕으로 대부분의 사극이 왕과 중앙중심의 이야기였다면, 향후 이것이 제대로 기능하는 시점이 되면 사극의 내용이 평범한 일상의 사람들로 옮겨질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댓글